하이데거는 인간은 ‘현존재’로 규정한다. 현존재란 ‘지금 여기에 있는 현실적인 인간 존재’를 의미하고, ‘내가 어떤 존재인가’ 스스로 물을 수 있는 존재를 의미한다. 하이데거가 강조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인간은 스스로가 죽는 존재라는 것을 깨닫고 수용하면 참된 실존을 회복할 수 있다.

정말 남들이 시키는 일을 아무 생각없이 끌려만 가면서 열심히 일하면서 살다가 어느 순간 심각한 병에 걸렸다고 해보자. 그러자 그는 비로소 자신이 죽음에 이르는 존재임을 비로소 실감하고 깨닫게 된다. 이때 깨달음은 누가 강요한 것이 아닌 주체적인 깨달음이다. 그러면 그는 이제껏 살았던 방식과는 다른 삶을 살아가게 되는데, 삶이 소중하다는 것을 알기에 그동안 타인에게 맞춰진 삶의 방식을 버리고, 다른 사람의 시선 같은 것은 의식하지 않으며 진정 자신이 원하는 삶을 제대로 살아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인간은 자신이 ‘주음에 이르는 존재’라는 것을 비로소 실감하고, 죽음을 예건했을 때 비본래적 실존에서 벗어나 본래적 실존으로 살아가게 된다.

 

2.죽음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극단적인 고유성이다. 어느 누구도 나를 대신하여 죽어줄 수 없는, 죽음은 오직 나의 문제이다. 그래서 불안하다. 자신이 죽음에 가까워진다는 점은 불안하고 공포스러운 일이다. 이 때문에 인간은 조금이라도 어려 보이려고 화장도 하고, 각종 주름 펴는 시술도 한다. 그런데, 하이데거가 보기에 불안과 공포는 부정적인 것이 아니다. 존재의 본질을 경험하려면 필수적으로 겪어야 하는 것이 불안과 공포이다. 현존재는 불안을 통해 자신이 죽음에 이르는 존재임을 알게 되며, 불안이야말로 진정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고 본다. 현존재는 자신이 죽음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수용하고, 삶이 단 한번 뿐이라는 것을 깨달으면 일상적 아무 의미없는 삶에서 벗어나 진정 자신이 누구이고, 무엇을 원하는지 스스로 묻고 대답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실존을 회복할 수 있게 된다. 현재 지금의 나를 미래의 죽음으로 던지면(실존적 기투) 또는 지금의 미래로 달려가 죽음 앞에 선다면(죽음으로서의 선구) 지금 내 삶의 가치를 알게 되며, 나의 본래적 실존을 회복할 수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인간은 세상 어떤 객관적 문제보다 자기 자신의 존재를 특별히 문제 삼는 존재라 할 수 있다.